독서 교육을 통해 어린이들의 이해력, 표현력, 사고력을 길러주고, 개인의 심리적, 정서적, 사회적 부적응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전문가 양성
정보화사회의 방대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4차산업혁명 시대의 데이터 인재 양성
교육과정
교육과정 – 학년, 학기, 교과목으로 구성
학년
학기
교과목
1
1
인성과생명존중, 지식정보사회론, 정보서비스론, 도서관문화프로그램, 문헌정보학개론 등
2
문제해결능력, 독서교육론, 분류목록실습, 자료조직론, 장서관리론, 이용자교육론, 독서상담심리 등
2
1
도서관경영론, 디지털기록정보관리, 사서실무실습, 도서관협력론, 독서치료 등
2
창업과진로, 정보검색론, 도서관정책론, 작은도서관경영, 도서관마케팅론, 도서관철학사 등
※ 교육과정 일부는 변경 될 수 있음
학과특성
특성
사서직 자격증을 활용한 취업준비(공무원, 기업체)
도서관 업무 이외에 데이터,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분야 습득
강점
특별한 시험준비 없이 전문 자격증 취득
공공도서관 및 공공기관, 국립중앙도서관 등 다양한 범위의 취업 분야
취득 자격증
준사서 자격증(졸업 후 발급), 전자출판기능사, 독서지도사, 어린이 독서 지도사, 독서 심리상담사, NIE논술지도사, 정보관리기술사, 인터넷 정보관리사, 컴퓨터활용능력(1급·2급), 평생교육사 등
졸업 후 진로
국립중앙도서관, 국회도서관, 공공도서관, 대학도서관, 초·중·고교 도서관, 전문 및 특수도서관(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정보자료실), 데이터베이스 관리업체, 빅데이터 분석업체, 방과후 독서지도교사(초·중), 독서·논술지도 관련 교육인, 대형서점 북마스터, 심리상담가, 데이터전문가, 사서공무원,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공급업체 등